PHAK

Distance Estimation and Depth Perception

해브어굿원 2023. 12. 31. 21:07
반응형

※ Reference : PHAK 2023, page 17-25 ~ 17-26

 

 거리 추정 및 깊이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 및 신호에 대한 지식은 야간에 조종사가 거리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됨. 이러한 신호는 단안 또는 양안일 수 있음. 거리 추정 및 깊이 인식에 도움이 되는 단안 신호에는 동작 시차, 기하학적 관점, 망막 이미지 크기 및 항공적 관점이 포함됨.

 운동 시차는 관찰자가 풍경을 가로질러 볼 때 정지해 이는 물체의 겉보기 운동을 말함. 조종사나 승무원이 비행기 밖을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바라볼 때, 가까운 물체는 운동 경로를 뒤로, 지나쳐, 반대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임. 먼 물체는 운동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고정된 상태로 있는 것처럼 보임. 겉보기 운동의 속도는 관찰자가 물체로부터 멀어지는 거리에 따라 달라짐.

 물체는 다양한 거리와 다른 각도에서 볼 때 다른 모양으로 보일 수 있음. 기하학적 관점 단서에는 선 모양의 관점, 뚜렷한 단축법 및 필드의 수직 위치가 포함됨.

  - 선 모양의 관점 : 활주로 등화, 전력선 및 철도 선로와 같은 평행선은 관측자와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수렴하는 경향이 있음. [Figure 17-21A]

  - 뚜렷한 단축법 : 물체의 실제 모양이나 지형지물은 멀리서 볼 때 타원형으로 보임 [Figure 17-21B]

  - 필드의 수직 위치 : 관측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물체나 지형지물은 관측자에 가까운 물체보다 지평선에서 더 높게 나타남. [Figure 17-21C]

 물체의 선명도와 물체에 의해 드리워진 그림자는 뇌에 의해 감지되며 거리를 추정하기 위한 신호임. 색상이나 음영의 미묘한 변화는 관찰자가 물체에 가까울수록 더 명확함. 그러나 거리가 멀어질수록 이러한 구별이 흐릿해질 수 있음. 개체의 세부 정보나 질감에도 동일하게 적용됨. 사람은 물체에서 멀어질수록 분리된 세부 사항이 덜 명확해짐. 밤에 비행할 때 기억해야 할 또 다른 중요한 사실은 모든 물체가 광원으로부터 그림자를 보낸다는 것임.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방향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짐. 물체의 그림자가 관측자를 향해 드리워지면, 광원이 관측자에게 미치는 거리보다 물체가 더 가까움.

반응형

'PHA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lf - Imposed Stress  (1) 2024.01.02
Binocular Cues (양안 단서)  (0) 2023.12.30
Visual Illusion, Enhanced Night Vision Systems  (0) 2023.12.29
Visual Illusion, Night Landing Illusion  (1) 2023.12.27
Visual Illusion, Flicker Vertigo  (0) 2023.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