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2. Mist [BR]
*박무는 대기 중에 떠 있는 미세한 물방울 또는 얼음 결정의 가시적인 집합체로 시정을 7 SM(11km) 미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지만 5/8 SM(1km)보다는 크거나 같습니다. 박무는 풍경을 덮는 회색빛의 얇은 베일을 형성합니다. 박무는 안개와 비슷하지만, 안개와 같은 정도로 시정을 방해하지는 않습니다.
박무는 안개와 연무의 중간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상대습도는 95-99% 정도로 안개보다 낮으며 안개처럼 시정을 방해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범주 사이에서 뚜렷한 구분의 경계는 없습니다.
16.1.3. Haze [HZ]
*연무는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매우 작은 입자들이 공기에 떠 있는 서스펜션이고 공기가 불투명해 보일 정도로 충분히 많이 부유합니다. 이는 빛의 파장을 산란시켜 시야를 감소시키게 됩니다. 연무는 어두운 곳에서 볼 때는 푸르스름한 색을, 밝은 곳에서 볼 때는 누르스름한 베일을 만듭니다. 연무는 회색 가림만을 발생하는 박무와 동일한 효과를 통해 구별할 수 있습니다. 특정 박무 입자는 상대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기가 증가하여 시정이 크게 감소합니다. 시정이 질감과 색을 볼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여 얼마나 멀리까지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척도인 반면, 연무는 비슷한 장면을 동일한 선명도로 볼 수 없는 것입니다.
연무는 안정적인 공기에서 발생하며 두께는 보통 수천 피트이지만 최대 15,000 feet(4,600m)까지 확장될 수 있습니다. 연무의 층은 그 위에 비행 중 (공대공, air-to-air) 시정에 제한되지 않는 분명한 천장(ceiling)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층 이하에서 공대지(air-to-ground) *경사 거리(직거리, slant range)의 시정은 좋지 않습니다. 연무 안에서의 시정은 조종사가 태양을 향해 비행하는지 아니면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16.1.4. Smoke [FU]
*연기는 화재, 산업용 연소, 또는 기타 발생원으로 인한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작은 입자의 공기 중 서스펜션(suspension)입니다. 입자가 25-100마일(40-160km) 이상 이동하면서 더 큰 입자가 자리를 잡게 되며 대기 중에 넓게 흩어지게 되면서 연무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연기는 시정을 0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화합물은 매우 유독하며 자극적입니다. 가장 위험한 것은 일산화탄소인데, 이것은 일산화탄소 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며, 때때로 시안화수소(hydrogen cyanide)와 포스진(phosgene)의 보조 효과와 함께 일어납니다.
연무나 연기 층 위로 하늘이 맑을 경우 일반적으로 낮 동안 시정이 나아지게 됩니다. 낮시간에 가열되면서 대류 혼합이 일어나 연기나 연무가 높은 고도로 퍼지게 되고 지표면 근처에서의 농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다만, 안개보다는 걷어지는 속도가 더딥니다. 안개는 증발할 수 있지만, 연무나 연기는 공기의 움직임에 의해 분산되어야 합니다. 연무나 연기 이상의 두꺼운 구름 층은 햇빛을 차단하여 소멸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 낮 동안에는 시정이 거의 나아지지 않을 것입니다.
16.1.5. Precipitation
강수는 대기로부터 떨어져 땅에 도달하는 액체 상태거나 고체 상태인 물 입자의 형태를 말합니다. 눈, 비, 그리고 *이슬비가 강수의 종류입니다. 폭설로 인해 시정이 0으로 감소할 수 있습니다. 비가 1마일 이하로 시정을 감소시키는 경우는 짧은 시간에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습니다. 이슬비는 일반 비보다 보통 시정을 더 크게 감소시킵니다. 이슬비는 안정적인 공기에서 형성되며 층 모양의 구름에서 떨어지며 일반적으로 안개를 동반합니다. 이슬비가 가벼운 비로 바뀌면 물방울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시정이 개선됩니다. 이는 단위 면적당 떨어지는 물방울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6.1.6. Blowing Snow [BL SN]
*높날림눈은 바람에 의해 지구의 지표면으로부터 6 feet(2m) 또는 그 이상의 높이로 들어올지는 눈이며, 수평 시정이 7 SM(11km) 미만으로 감소될 정도로 많이 날리는 눈입니다. 가볍고 건조한 가루의 눈은 바람에 날리기 쉽습니다. 강풍으로 인해 눈이 50 feet(15m) 이상 쌓이게 되어 하늘을 가리고 지상 시정이 0 가까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를 *화이트아웃(whiteout)이라고 합니다. 바람이 잔잔해지면 시정은 빠르게 개선됩니다.
16.1.7. Dust Storm [DS]
*먼지 폭풍은 강한 바람과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먼지가 가득한 공기로 특정 지어지는 혹독한 기후 조건입니다. 모래 폭풍은 많은 점토(clay)와 실트(silt), 그리고 미세한 흙이 강한 바람과 함께 공중에 떠 있어 노출될 때 발생합니다. 미세한 흙은 일반적으로 *플라야(playas)라고 불리는 건조한 호수 바닥, 강의 범람원(floodplains), 해양 퇴적물, 빙하 퇴적물에서 발견됩니다.
대부분의 먼지는 많은 별개의 원천에서 비롯됩니다. 강력한 먼지 폭풍은 근원 지역의 내부와 근처에서 시정을 0에 가깝게 감소시키며, 근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시정은 개선됩니다.
먼지 폭풍은 황무지에서 낮 동안의 엄청난 가열과 먼지를 대기 중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난기류성의 불안정한 기단에서 보통 발생됩니다. 먼지를 모이게 하려면 지상풍이 15 kts 이상이어야 합니다. *사막 포도(desert pavement)라고 불리는 촘촘하고 단단히 다져진 바위 조각으로 덮인 사막 표면 위에서는 35 kts의 풍속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먼지 폭풍의 평균 높이는 3,000~6,000 feet(~1km)입니다. 하지만 종종 15,000 feet(4,600m)까지 확장될 수 있습니다.
일몰 후 강한 냉각이 빠르게 대기를 안정화시켜 기온 역전을 형성하고 먼지를 가라앉힙니다. 난기류가 없다면, 먼지는 일반적으로 시간당 1,000 feet(300m)의 속도로 가라앉게 됩니다. 먼지가 가라앉는 데 많은 시간(또는 며칠)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강수로 인해 먼지를 대기로부터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먼지 폭풍에서의 항공기 운항은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몇 초 만에 시정이 0으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먼지는 또한 엔진의 공기 흡입구를 막고, 전기 광학 시스템을 손상시키며, 인간의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조종사의 관점에서, 먼지의 공대지(air-to-ground) 경사 거리(직거리, slant range) 시정이 보고된 지상(수평) 시정에 비해 일반적으로 감소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보고된 지상 시정이 3마일 또는 그 이상일지라도, 상공에서 공항을 찾지 못할 수 있습니다.
16.1.8. Sandstorm [SS]
*모래폭풍은 강한 바람에 의해 하늘로 띄어지는 모래 입자입니다. 모래 입자는 대부분 가장 낮은 10 feet(3.5m)에 제한되며, 지상에서 50 feet(15m) 이상 위로 올라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모래 폭풍은 먼지 폭풍과 비슷하지만 국지적인 규모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이는 모래 입자가 먼지 입자보다 크고 무겁기 때문입니다. 모래폭풍은 모래가 느슨한 모래(loose sand)가 있는 사막 지역에서 가장 잘 발달하는데, 사구(dune)에서는 먼지의 혼합물이 거의 없습니다.
16.1.8.1. Haboob
*하부브(haboob)는 뇌우로부터 생성되는 차가운 하강기류가 모래와 먼지를 공기 중으로 소용돌이를 치며 들어 올리면서 형성되는 모래 폭풍 또는 먼지 폭풍입니다. 하부브는 종종 짧은 수명을 가지지만, 꽤 강력할 수 있습니다. 먼지 벽(dust wall)이 수평으로 60마일(100km) 이상 뻗어 뇌우의 베이스(기저부, base)까지 수직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회전하는 먼지의 회오리바람은 종종 소용돌이치며 빠져나가는 차가운 공기를 따라 형성되어 거대한 먼지/모래 소용돌이를 만듭니다.
- 박무 (mist, BR) : 지극히 미세한 물방울이나 젖은 흡습성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는 것으로 수평 시정이 1000~5000m로 감소되며 상대 습도가 80% 이상이 됨. 박무가 낀 때의 대기는 안개처럼 습하고 차갑게 느껴지지는 않음. 시정이 1000 m 이상 5000 m 이하일 때 보고.
- 연무 (haze, HZ) : 눈에 보이지 않는 지극히 미세하고 건조한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는 것으로 수평 시정을 5000m 이하로 감소시키는 유백광의 입자가 공기 중에 무수히 많음.
- 경사거리 (직거리, slant range) : 안테나와 목표물의 객체 사이에 가상의 직선으로 측정된 거리를 말함.
- 연기 (smoke, FU) :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조그만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는 것으로 수평 시정이 5000m 이하로 감소됨. 만약 부유하는 물방울이 없고 상대 습도가 약 90% 이하이면 수평 시정 1000m 미만에서 연기가 사용되어야 함.
- 이슬비 (drizzle, DZ) : 매우 많은 수의 작은 물방울이 거의 일정하게 내리는 강수. 안개를 구성하며 직경 0.5㎜ 미만의 아주 작은 물방울들이 내리는 강수로서 얼핏 보면 공중에 떠 있는 것 같이 보이며, 대기가 약간만 움직이더라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음. 보통 연속된 두꺼운 층운(st)에서 내리고, 운고는 대단히 낮으며, 지면까지 도달하여 안개로 되는 수가 많다. 특히 해안이나 산악지대에서는 이슬비로 내리는 수가 많음. 이슬비로 인한 강수량은 1시간에 1㎜ 이상이 되는 일은 드물며, 시정은 비가 내릴 때보다 더욱 나쁜 것이 특징.
- 높게 날림 (blowing, BL) : 지상 위로부터 2 m (6 ft) 이상의 높이로 바람에 의해서 올라간 먼지(DU), 모래(SA), 눈(SN) 보고에 사용, 눈의 경우에는 구름으로부터 내리는 눈과 지상으로부터 바람에 의해서 올라간 눈과 혼합된 경우에 사용.
- 눈 (snow, SN) : 얼음결정으로 된 강수. 결정들이 규칙적으로 결합한 것도 있으며, 불규칙하게 결합한 덩어리를 이룬 것도 있음. 눈은 대기 중에서 수증기가 승화된 것이 모체가 되며 여기에 과냉각된 물방울이 부착하여 빙결된 것과 다소 물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도 있음. 이와 같은 것들이 불규칙하게 흩어져 내리기도 하며 어떤 때는 여러 개가 결합되어 눈송이를 이루어 내릴 때도 있다. 구름 속에서 떨어지는 단일 또는 덩어리로 된 빙정이 고체형태로 떨어지는 것을 말함. 매우 낮은 온도에서 눈송이는 작으며 그 구조는 단순하다. 빙결점 온도 부분에서는 개개의 눈송이가 많은 수의 빙정(별 모양이 우세한)으로 구성되며 이런 눈송이의 직경은 25㎜ 이상 됨.
- 화이트아웃 (whiteout) : 강설과 산안개로 인해 시계가 하얀색 일색이 되어 원근감이 없어지는 현상.
- 먼지 폭풍 (dust storm, DS) : 강하고 급격한 바람에 의하여 왕성하게 상승된 먼지 입자의 총체로 보통 뜨겁고 건조하며 바람이 부는 조건, 특히 구름이 없는 왕성한 한랭전선의 전면에서 발생함. 먼지 입자의 직경은 전형적으로 0.08㎜미만이며 결과적으로 모래보다 훨씬 더 높이 상승할 수 있음.
- 플라야 (playas) : 사막의 오목한 저지대, 우기에는 얕은 호수가 됨.
- 사막 포도 (desert pavement) : 사막 지역에서 바람의 작용과 평면 침식에 의하여 고운 토양 입자가 모두 제거된 사막 표면에 바람에 잘 마모된 조약돌, 둥근 돌 및 기타 암석 조각들이 빽빽하게 덮여 있는 자연적으로 생긴 평평한 지표면.
- 모래 폭풍 (sandstorm, SS) : 강하고 급격한 바람에 의하여 왕성하게 상승된 모래 입자의 총체로 모래 폭풍의 전면 부분은 넓고 높은 벽과 같은 모양을 가짐. 상승하는 모래의 높이는 풍속과 불안정도에 따라 증가함.
- 하부브 (haboob) : 건조 지역에서 상승기류에 의해 생성되는 먼지폭풍.
※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Advisory Circular (AC) 00-6B, AVIATION WEATHER, page 16-5~7 해석
'자습 [ Aviation Weather, FAA AC 00-6B ] > CH 16. 기상, 시정의 장애물, 낮은 운고, 산악 차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1.9.~16.2. Volcanic Ash / Low Ceiling and Mountain Obscurtion (0) | 2022.02.13 |
---|---|
16.1.~1.1. Weather and Obstructions to Visibility / Fog (0)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