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습 [ Aviation Weather, FAA AC 00-6B ]/CH 14. Precipitation

14.4. Precipitation Types

해브어굿원 2022. 2. 9. 08:49
반응형
14.4. Precipitation Types

 온도의 수직 분포는 보통 표면에서 발생하는 강수 유형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Figure 14-2]처럼 눈은 대기의 전체에 걸쳐 온도가 영하로 유지될 때 발생합니다.

눈이 내릴 때의 온도와 환경

 싸락우박(얼음싸라기, ice pellets){또는 진눈깨비(sleet)}은 지표면에 영하의 공기인 두꺼운 층과 높은 곳에 *결빙 온도(freezing temperature) 이상의 얕은 층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눈이 얕은 따뜻한 층으로 떨어지면서, 눈송이는 부분적으로 녹게 됩니다. [Figure 14-3]과 같이 강수가 영하인 공기로 다시 유입되면서, 다시 싸락우박(ice pellets)으로 얼게 됩니다.

싸락우박이 내릴 때의 온도와 환경

 *어는비(freezing rain)는 지표면에 영하의 공기인 얕은 층과 높은 곳에 결빙 온도 이상의 두꺼운 층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어는비는 비 그리고/또는 눈으로 내리기 시작할 수 있지만, 따뜻한 층에서는 모두 비가 되어 내리게 됩니다. [Figure 14-4]에서 볼 수 있듯, 비는 다시 영하의 공기로 떨어지지만, 층이 얕기 때문에, 싸락우박으로 얼게 될 시간이 없게 됩니다. 이 낙하는 지면 또는 노출된 물체와 접촉 시 얼게 됩니다.

어는비가 내릴 때의 온도와 환경

 *비는 [Figure 14-5]처럼 지표면에 따뜻한 공기의 깊은 층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비가 내릴 때의 온도와 환경


  • 결빙 온도 (동결 온도, freezing temperature) : 액체가 동결하기 시작할 때의 온도. 일반적으로는 물의 동결 온도 0℃가 알려져 있음.
  • 어는비 (freezing rain) : 지표의 온도가 어는점 이하일 때 내리는 비. 착빙성 비라고도 부름. 비가 물체에 닿는 즉시 꼭 유리면과 같이 코팅된 모습으로 얼어붙음. 균질하고 매끈하며 투명한 얼음 층이 어는비의 특징. 어는비란 대기 중에서 비로 내리다가 물체에 닿으면 바로 얼어붙는 비라고 할 수 있음. 대기 상공의 기온이 낮은 곳에서는 눈이 내림다. 내리던 눈이 하층으로 내려오면서 녹아 비로 변함. 이 비가 지면 근처의 영하의 물체에 부딪치면서 얼어붙음. 그래서 비는 비지만 얼어붙기에 어는비라고 부르는 것. 어는비가 내리기 위해서는 지표나 물체 표면 온도는 반드시 영하 이하이어야 함.
  • 비 (rain) : 대기 중의 수증기가 높은 곳에서 찬 공기를 만나 식어서 엉기어 땅 위로 떨어지는 물방울.

 

※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Advisory Circular (AC) 00-6B, AVIATION WEATHER, page 14-3~4 해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