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습 [ Aviation Weather, FAA AC 00-6B ]/CH 13. Clouds

13.4.2. Middle Clouds

해브어굿원 2022. 2. 6. 14:05
반응형
13.4.2. Middle Clouds

 *고적운(Altocumulus, Ac), *고층운(Altostratus, As), *난층운(Nimbostratus, Ns)은 *중층운에서의 구름 형태입니다. 중층운은 주로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지만, 온도가 영하일 때 과냉각된 액체 물방울 및/또는 얼음 결정으로 구성될 수도 있습니다. 고층운은 보통 중층운의 고도 범위에서 확인될 수 있지만, 때때로 중층운의 고도 범위보다 더 높은 고도에서도 확인될 수 있습니다. 난층운은 거의 항상 중층운의 고도 범위에서 발견되지만, 일반적으로 하층운이나 상층운의 범위로 확대될 수도 있습니다.


13.4.2.1. Altocumulus (Ac)

 [Figure 13-4]처럼 고적운은 구름의 일종으로 흰색 및/또는 회색의 색으로 물결치는 모양을 가진 층이나 조각으로 나타나며, 얇은 막, 둥근 덩어리, 통(roll)과 같은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보통 선명하게 윤곽이 잡혀 보이지만, 부분적으로 섬유화 되거나 널리 퍼질 수 있습니다(합져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작은 액체 물방울은 항상 고적운 구성 요소들의 주요 부분을 구성합니다. 이로 인해 뚜렷한 윤곽이 잡히게 되고 내부 가시성이 작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매우 낮은 온도에서 얼음 결정이 형성될 수도 있습니다. 고적운을 통과하는 조종사들은 약간의 난기류와 적은 양의 착빙을 만날 수 있습니다.

고적운. 고적운은 태양과 달의 위치를 드러내 보이기에 충분히 투명한 하나의 층입니다. 고적운은 점진적으로 하늘을 덮지 않고, 각각의 요소들은 그다지 많이 변하지는 않습니다. 얇은 고적운의 구름은 보통 코로나(corona)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13.4.2.1.1. Altocumulus Lenticularis

 아래 [Figure 13-5]와 같이 *렌즈구름은 ACSL {Altocumulus Standing Lenticular, 렌즈 모양의 지속(고정)적인 고적운}로 알려진 산악성의 구름 유형입니다. 렌즈구름은 종종 어떤 곳에서는 녹는 것처럼 보이고 다른 것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처럼 보입니다. 또한 종종 아몬드나 파도 구름 모양의 조각들로 형성됩니다. 이러한 형성은 대기의 *파상 운동에 의해 발생하며 산간지역이나 언덕 지역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단지 수천 피트 높이의 언던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고 바람을 타고 60 miles(100 km) 이상까지 확장될 수 있습니다. 구름의 요소들은 풍상측 가장자리에서 형성되고 요소들이 증발되는 곳의 가장자리로 바람을 타고 운반됩니다. 대체로 렌즈구름은 보통 정지해 있거나 느리게 움직입니다. 이 구름들은 종종 매우 부드러운(매끄러운) 윤곽을 가지고 있고 명확한 음영을 보여줍니다.

 ACSL 구름은 파상(파동) 마루의 위치를 나타내지만, 상승기류와 하강기류의 강도나 난기류의 강도를 반드시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구름이 리프팅(lifting)과 수분 둘 다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ACSL 구름처럼 명확한 파동은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는 약한 상승기류에서 보일 수 있지만, 그 파동이 강하더라도 환경이 매우 건조할 경우라면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렌즈구름


13.4.2.2. Altostratus (As)

 아래 [Figure 13-6]처럼 고층운은 회색 또는 푸르스름한 (절대 흰색은 아님) 침대에 깔거나 위로 덮는 듯한 얇은 천 혹은 줄무늬, 섬유질, 또는 균일한 모양의 레이어(layer) 형태의 구름 유형입니다. 고층운은 자주 수천 평방 마일(mile)의 지역을 덮을 수 있을 정도로 완전히 하늘을 덮습니다. 고층운의 층(layer)은 태양의 위치를 드러낼 수 있을 만큼 얇은 부분들을 가지고 있고, 만약 틈과 균열이 나타난다면, 불규칙적인 형태와 간격을 가집니다. 

 고층운의 다소 큰 수직 범위(수백에서 수천 feet까지) 내에서, 매우 이질적인 입자의 구성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가장 완전한 경우에는 1) 대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얼음 결정인 상부, 2) 얼음 결정 및/또는 눈송이와 *과냉각 물방울의 혼합물인 중부(중간 부분), 3) 대부분 또는 완전히 과냉각 물방울 또는 일반 물방울인 하부, 이렇게 구별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 유형의 여러 부분적인 조합이 발생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위의 3)만으로 구성된 구름은 절대 없습니다. 입자들은 고층운의 가장 두꺼운 부분을 제외하고 태양을 가리지 않으며, 오히려 태양의 이미지에 불투명 효과를 주고, 선명하게 윤곽이 잡힌 그림자가 지구 상의 물체에 드리워지는 것을 막기 위해 충분히 널리 분산되어 있습니다. *헤일로 현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조종사는 난기류를 거의 또는 전혀 만나지 않지만, 과냉각수 지역에서 약한(light) 착빙에서 보통(moderate) 착빙을 만날 수 있습니다.

고층운. 얇은 고층운은 일반적으로 권층운의 베일이 점차 두꺼워지는 것으로부터 발달됩니다. 이것은 대부분의 구름들이 성장함에 따라 높이가 증가하는 것과 달리, 구름의 베이스(base, 아래 부분)가 낮아짐에 따라 고층운과 난층운이 성장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층운은 희끄무레하고 푸르스름한 색이며 절대 흰색은 아닙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부분은 반투명 유리를 통해 보는 것처럼 항상 태양(또는 달)을 볼 수 있습니다. 지상의 물체는 그림자를 드리우지 않고 헤일로 현상은 결코 볼 수 없습니다.


13.4.2.3. Nimbostratus (Ns)

 난층운은 회색 구름층으로 종종 어둡고, 대부분의 경우 지속적으로 내리는 비, 눈, 얼음싸라기 등에 의해 널리 퍼지게 되며, 땅에 도달합니다. 천둥, 번개, 우박은 동반하지 않습니다.

 난층운은 부유하는 물방울, 때로는 과냉각 물방울, 떨어지는 빗방울 및/또는 눈의 결정 혹은 눈송이로 구성됩니다. 난층운은 수평과 수직적으로 큰 규모의 층을 차지합니다. 이 구름의 높은 밀도와 두께(보통 수천 피트)는 태양의 관측을 방해합니다. 그리고 난층운의 더 낮은 부분에서의 작은 물방울의 부재는 난층운에게 내부로부터 어둡고 균일한 빛의 모습을 제공합니다. 또한 난층운에는 명확한 베이스가 없으며, 오히려 가시성 감쇠의 깊은 구역이 있습니다. 눈이 녹아 비가 되는 고도에서 종종 진짜가 아닌 난층운의 베이스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비록 매우 낮은 층운 또는 층적운으로 합쳐질 수 있지만 공식적으로 중층운으로 분류됩니다. 난층운은 매우 적은 난기류를 발생시키지만 온도가 영하 온도 근처거나 그 이하일 경우 심각한 착빙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두꺼운 고층운 또는 난층운. 두꺼운 고층운은 밀도가 높고 얇은 고층운보다 어두운 회색 또는 푸른 회색이며, 태양이나 달을 가릴 정도로 밀도가 높은 부분이 많습니다. 고층운의 두께가 더 두꺼워지고 베이스가 낮아지면서, 구름은 걍수를 생성하기 시작할 수 있으며, 이 지점을 난층운이라고 불립니다. 일부 구름 분포도는 난층운을 하층운으로 표시합니다. 이것은 종종 지속적으로 강수가 떨어지는 동안 난층운 구름의 베이스가 저고도로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공식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난층운은 중층운으로 분류됩니다.


  • 고적운 (Altocumulus, Ac) : 높쌘구름이라고도 함. 작은 구름덩어리가 규칙적으로 늘어서 파상을 이루거나 양 떼와 같이 뭉쳐 있음. 주로 백색인데, 일부는 암회색으로 보이기도 함.
  • 고층운 (Altostratus, As) : 높층구름이라고도 함. 줄무늬를 이룬 베일 모양의 구름으로 옅은 회색 또는 옅은 흑색을 띰. 하늘 전체를 덮는 경우가 많음. 해나 달을 완전히 가리기도 하나, 얇을 때는 윤곽이 희미하게 보임. 세찬 비는 내리지 않지만, 약한 비나 눈 등이 내림. 이 구름을 통해서는 햇무리나 달무리 현상을 볼 수 없음.
  • 난층운 (Nimbostratus, Ns) : 비층구름이라고도 함. 구름의 높이에 따라 중층운이나 하층운으로 구분함. 구름의 층(운층)이 아주 두껍기 때문에 구름의 베이스(운저)는 암흑색으로 보이고, 비나 눈이 내릴 때가 많음. 저기압의 중심 부근이나 전선 부근 등에 널리 발달하는데, 지형이 원인이 되어 형성되기도 함. 계절풍에 의해서 해안지방에 눈을 내리는 난층운이 그 예. 보통 고층운이 차차 두꺼워지고 낮아지면서 난층운이 됨.
  • 중층운 (middle clouds) : https://jicho9597.tistory.com/164 참조
  • 렌즈구름 {ACSL(Altocumulus Standing Lenticular) 또는 Altocumulus Lenticularis} : 바람이 강하고 날씨가 개이기 시작할 때 많이 발생. 상공의 빠른 기류 아래에서 지형(주로 산악지형) 등의 원인으로 파상 운동이 발생하면 그 상승 부분에 구름이 렌즈 모양으로 발생하게 됨. 가끔 높이 1,000m 정도의 산에 의해 몇 천 m 상공까지 렌즈구름이 형성되기도 함. 렌즈구름이 만들어내는 산악파는 강한 난기류를 동반하는데, 이 강한 난기류가 항공기 안전에 위협을 주기 때문에 운항하면서 피하는 것이 일반적임.
  • 파상 운동 : 물결 모양으로 움직이는 운동.
  • 과냉각 물방울 (supercooled water droplets) : https://jicho9597.tistory.com/165 참조
  • 헤일로 (halo) : https://jicho9597.tistory.com/165 참조

 

※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Advisory Circular (AC) 00-6B, AVIATION WEATHER, page 13-5~9 해석

반응형